레이블이 필리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필리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12/22/2018

-[MLB토크] 박찬호에게 야유하는 다저스 팬? MLB 응원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자


프렌차이즈 선수로서 7년간 필리스의 유니폼을 입었던 랜디 울프. 이번 원정 3연전에서도 필라델피아를 비롯한 언론의 관심이 집중된 선수였다. 하지만 친정팀 마운드에 오른 그에게 돌아온 것은 필리스 팬들의 환호가 아닌 야유였다.



이번 2009 NLCS 1차전 직후 국내 각종 야구 사이트나 게시판에서는 한가지 논란이 되었던 이슈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1차전에 다저스타디움에서 호투를 펼치며 팀 승리를 지킨 박찬호에게 다저스 팬들이 야유를 보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논란은 2차전에 박찬호가 등판을 했을 때도 가실 줄을 몰랐습니다.

비록 제가 다저스 팬이고 어떻게 생각하면 다저스 팬들을 옹호 한다고 비춰질수도 있겠지만, 그저 객관적인 사실만을 전달하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이런 행위는 MLB 구장에서 지극히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하나의 응원 문화입니다.

멀리서 찾을 필요도 없이 바로 어제였습니다. 챔피언 시리즈 4차전에 등판한 다저스 선발투수 랜디 울프를 한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울프 같은 경우는 필라델피아가 제2의 고향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필리스를 사랑했던 프렌차이즈 선수였습니다.

울프는 1999년 필리스에서 메이저리그 데뷔 후 7년간을 필라델피아에서 뛰었으며 4년 연속 10승 이상을 올리는 등 필리스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던 에이스급 선발투수였습니다. 2007년 필리스가 14년만에 플레이오프에 오르기 전까지 암흑기에서 허우적 거리고 있던 팀을 충실히 지킨 선수였습니다. 

하지만 19일 경기에서 이런 울프에게 들려온 것은 환호가 아닌 엄청난 야유였습니다. 마운드가 아닌 타석에서도 그를 향한 야유는 극치를 이룹니다. 울프는 알게 모르게 미국인들이 더 좋아하고 챙기는 오리지날 백인인데도 말입니다. (어느분은 박찬호의 경우를 들어 인종차별로 까지 확대 해석을 하시더군요.)

그러나 해당 선수인 울프나, 이걸 바라보는 저를 포함한 현지 팬들은 아무런 문제가 없는 행위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메이저리그 구장에서 상대 선수들의 기를 죽이는 행위는 그저 그들이 즐기는 야구 문화의 일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구장내 팬들 전부가 그러는 것도 아니고 일부 사람들이 그러는 행위일 뿐더러, 그 일부의 행위 조차도 전혀 문제가 될게 없는 미국의 평범한 야구 문화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덧붙이자면 매년 팀 로스터에 상당수의 얼굴들이 바뀌고, 넓은 대륙에서 30개 팀이나 되다보니 팀의 대스타 및 전설적인 선수가 아닌 이상 전 소속 선수에 대한 애정이 그리 크지는 않다는 것도 하나의 대답이 될 수 있겠습니다.




올 시즌 샌프란시스코 유니폼을 입고 세이프코 필드를 방문했던 랜디 존슨의 모습. 친정팀 구장을 방문해서도 이런 아름다운 장면을 연출할 수 있는 선수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철저한 지역 연고제가 자리잡고 있는 미국 프로 스포츠에서는 언제나 본인들의 연고팀이 최우선입니다. 홈팀을 위해서는 물리적인 방법이나 법에 저촉되는 행위만 아니라면 사기 진작 차원에서라도 무슨 일이든지 못할 게 없는 미국 팬들이라고 봅니다.

이것도 한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올 시즌 리글리 필드에서 필리스의 중견수 셰인 빅토리노가 공을 잡으려고 하자 외야의 한 컵스 관중은 빅토리노의 수비 방해를 위해서 들고있던 맥주컵을 그에게 던져버립니다. 물론 근본적으로 이런 행동 자체는 절대로 용납되서는 안되겠지만 그 팬의 마음 만큼은 충분히 이해가 되더군요.

그만큼 미국 프로 스포츠에서는 홈 어드벤티지가 갖는 힘은 엄청난 것이고, 상당히 중요합니다. 때문에 경기 도중에 일어나는 야유들도 그저 홈 어드벤티지의 일종으로 간주해버리는 시각이 팽배하다는 것입니다.

지난 해에도 필리스에게 발목이 잡혀 월드시리즈에 진출하지 못했던 다저스 팬들은 올해 역시 지난해와 똑같은 시점에 필리스를 다시 만났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다저스도 아닌 상대팀에서 전력 투구를 하는 박찬호가 그리 이쁘게 보이진 않았을 것으로 추론해 봅니다. 때문에 경기에 몰입하고 흥분한 일부 관중들의 추태도 있었다고 보여집니다.

박찬호가 그것도 친정팀 팬들에게 야유를 당하는 모습이 국내 팬들이 볼때는 굉장히 섭섭하고 충격적으로 다가왔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저 다른 나라의 다른 문화 정도로만 쉽게 생각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런 야유 속에서도 멋진 활약을 펼친 박찬호 선수에게 힘찬 박수를 보냅니다.


*본 내용은 2009년 10월 21일 다저네이션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된 포스팅입니다. 


/로스앤젤레스/©다저네이션
dodgernationkorea@gmail.com










12/21/2018

-[MLB현장] 다저스 팬들은 박찬호를 잊지 않았다.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2009 NLCS 1,2차전이 펼쳐진 다저스타디움.지난 시즌에 이어서 리턴 매치를 갖게되는 양팀의 치열한 승부가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 팬들에게 가장 큰 관심의 초점은 아마도 박찬호였을 것입니다.헴스트링 부상 때문에 디비전 시리즈를 건너 뛴 박찬호는 챔피언쉽 시리즈 로스터에 전격 합류하며 마침내 그라운드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그리고 1차전 좋은 피칭으로서 필리스의 귀중한 첫승에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2차전이 열렸던 16일에도 박찬호는 경기전 팀 훈련에 참가하며 그라운드에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 현장을 멀리서나마 카메라에 담아봤습니다.



홈팀인 다저스 선수들의 경기전 연습훈련이 끝난 뒤 필리스 선수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이날 다저스타디움에서 가장 싼 좌석(3층)의 티켓을 가지고 있던 저는 아래층에는 못내려가고 이렇게 3층에서 똑딱이 카메라의 한계를 느끼며 열심히 줌으로 당겨 찍었습니다.




드디어 필리스 선수들 무리속에서 가장 오른쪽에 박찬호 선수가 보입니다.




1차전 승리 때문인지 필리스 선수단의 훈련 분위기는 밝아보였고 박찬호 선수 역시 동료들과 대화를 나누며 시종일관 밝은 모습이었습니다.




그러던중 박찬호는 우측 외야 All-You-Can-Eat 좌석의 다저스 팬들과 대화를 하기 시작합니다. 워낙에 멀리있어서 무슨 대화를 하는지는 모르는 상황이었지만, 박찬호는 일일이 손짓까지 하면서 관중들과 대화를 나눕니다.




이어서 가볍게 몸풀기가 끝난 필리스 투수들은 캐치볼을 하기 시작합니다.


간단하게나마 박찬호의 투구폼을 볼 수있는 모습입니다.



캐치볼을 마친 뒤에는 스트레칭이 이어집니다.





다른 선수들은 전부다 잡담 나누고 공가지고 놀러(?) 갈 때, 박찬호 혼자 남아서 트레이너와 함께 10여분간 스트레칭을 하기 시작합니다. 

보기에는 간단해 보일지 몰라도 온힘을 다해서 하나씩 스트레칭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니 안타까운 마음이었습니다. 허리도 안좋은 상태에서 허벅지까지 말썽을 일으켜서 그런지 거의 전신을 다 스트레칭을 하더군요.






이제부터 박찬호의 팬들을 향한 애정이 시작됩니다. 사진속에 있는 사람들은 2층 스텐드에 있는 필리스 팬들이었는데 박찬호가 이곳까지 공을 던져주면서 필리스 팬들을 챙기더군요. 이 팬들은 박찬호의 호의에 상당히 고마워하며 큰 소리로 "Thank you~!"를 외쳐댔습니다.






이날 다저스타디움에는 박찬호 선수를 기억하는 팬들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그 역시 다저스 팬들을 잊지 않은 모습이었습니다. 대부분의 필리스 선수들이 본인들 할 것에만 집중하고 있을때, 박찬호는 중간마다 그의 이름을 외쳐대는 다저스 팬들과 함께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 관중석 꼬마들을 하나 둘씩 불러서 직접 야구공을 건네줄 때는 관중석 전체에서 박수 갈채가 쏟아지는 흐뭇한 광경이 연출되기도 했습니다.







다저스타디움은 물론 LA 전체에서도 아직 그를 '다저스의 61번 투수, 박찬호'로 기억하고 있는 팬들이 많습니다. 비록 이제 유니폼은 다르지만 그의 등장은 다저스 팬들에게도 큰 이슈이자 좋은 추억으로 남을 것입니다.







관중석 여기 저기서 "Chan Ho~~~"를 외쳐대면 그는 어김없이 손을 들어주며 화답합니다. 그리고 야구공에 싸인을 해주면서 그를 기억하는 팬들에게 작지만 큰 의미의 선물을 건내줍니다.







그는 언제나 현지 한국인들에게도 큰 우상입니다. 이날 다저스타디움에는 많지는 않았지만 박찬호의 이름을 외쳐대는 한국팬들이 종종 눈에 띄었습니다.






또다시 다른 유니폼을 입고 다저스타디움 마운드 위에 서있는 박찬호. 그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요?







지금으로부터 16년전, 다저스의 61번 유니폼과 함께 그의 도전은 시작됩니다.



저는 박찬호를 통해서 처음 메이저리그를 접하게 되고 그때부터 15년을 한결 같은 다저스 팬으로 살아왔습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도 박찬호가 팀을 떠날 때마다 그와 함께 가지는 못했습니다. 그저 마음속으로는 항상 박찬호를 응원하면서 이미 제 가슴속에 깊이 스며든 파란색(다저스)과 함께하게 됩니다.

로스엔젤레스에 거주하는 한국인들 뿐만 아니라 다저스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현지 팬들은 아직도 그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실제 이날도 그가 등판을 하자 관중석 여기저기서는 박찬호에 대한 얘기들이 들렸습니다.


지금까지 다저스 구단 역사상 61번을 달았던 선수는 단 두명뿐이었습니다. (1958년 Earl Robinson, 1994~2001, 2008년 박찬호) 그 중 하나가 바로 박찬호입니다. 다저스 팬들은 이제 61번 선수로는 박찬호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고 말을 합니다.

그 시기가 언제일지도 모르고 이젠 가능성이 없는 얘기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겠지만, 박찬호가 부디 은퇴 전에는 다시 친정팀의 61번 유니폼을 한번 더 입어봤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리고 멋진 투구와 함께 박수 갈채를 받으며 다저스타디움 마운드를 내려오는 모습을 상상해봅니다. 

16년전, 꿈과 열정을 간직한 동양인 청년을 기억하고 있는 그 마운드 위에서 내려오는 모습을 말이죠.



*본 내용은 2009년 10월 19일 다저네이션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된 포스팅입니다. 

/로스앤젤레스/©다저네이션
dodgernationkorea@gmail.com